기업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운영체제로 Linux를 많이 사용 합니다.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Linux 터미널 명령어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sudo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가 sudo 입니다. sudo는 모든 명령을 사용자(root) 권한으로 실행 시킵니다. 업데이트 및 파일 변경과 같은 작업을 할 때 사용 됩니다.
앞서 언급 했듯이 sudo는 사용자 권한으로 명령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시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sudo는 사용자의 home 디렉토리를 벗어나서 파일을 편집하거나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 됩니다. sudo를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sudoers 파일에 있거나 슈퍼유저 그룹에 속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sudoers 파일로, 루트 접근이 허용되는 그룹이 지정돼 있습니다. 암호 없이 사용자, 그룹에게 sudo 접근을 허용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판단입니다.
sudo의 명령은 큰 힘을 가지고 있어 함부로 사용하면 사용자 또는 그룹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사용시 신중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패키지 관리자 도구(yum, apt, pacman)
sudo를 사용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PC에서 프로그램을 추가 또는 제저하기 위함입니다. 관리자 도구로 언급한 세 가지 패키지 관리자는 각각 명령 인수와 구문 측면에서 상이하지만 세 가지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한다는 면에서는 동일합니다. 즉, 패키지 설치, 제거, 업그레이드를 수행 합니다.(계정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 이러힌 명령 앞에 sudo를 사용해야 합니다.)
yum(red-hat/Fedora/CentOS)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패키지>
패키지 제거: yum remove <패키지>
시스템 업그레이드: yum update
apt(Debian/Ubuntu/Mint)
패키지 설치: apt install <패키지>
패키지 제거: apt remove <패키지>
시스템 업그레이트: apt update, apt upgrade
pacman(Arch/Manjaro)
패키지 설치: pacman -S <패키지>
패키지 제거: pacman -R <패키지>
시스템 업그레이드: pacman -Syu
패키지 관련 명령어는 더 많이 존재하지만 이 세 가지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어느 리눅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관련 패키지를 알아 두어야 합니다.
systemctl(systemd)
아주 오랫동안 데몬이라는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은 initscript라는 일련의 스크립트를 사용해 시작습니다. 그러나 초보자에게 initscript는 읽고 해석하기도, 변경하기도 어려웠습니다. 비교적 최근 Systemd라는 서비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initscript를 대체했습니다. 최신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한다면 필요한 서비스를 시작하는 역할은 Systemd가 맡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Systemd에 대한 가장 큰 불만 중 하나는 할 수 있는 일이 너무 많다는 것입니다.(유닉스 프로그램은 보통 한 가지 일을 하되, 아주 잘 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짐니다.)
Systemd 키워드
systemctl start <서비스 이름>
서비스를 시작하려면 start 키워드를 사용
systemctl restart <서비스 이름>
서비스가 실패하거나 구성이 변경된 경우 재시작
systemctl stop <서비스 이름>
서비스 중지
systemctl enable <서비스 이름>
부팅 시 서비스를 활성화
systemctl disable <서비스 이름>
부팅 시 시작되지 않도록 서비스를 비활성화
ls
ls 명령은 지정한 경로의 파일과 폴더를 나열합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파일과 폴더를 나열하지만 주어진 경로의 내용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 dir 명령과 같은 기능을 가졌다. 이 명령어는 하위 디렉토리에서 구성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GUI가 없는 환경에서 파일 이름을 겸색할 때도 유용합니다. 리눅스 파일 이름과 명령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정확한 절차를 알 수 있다면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됩니다.
man
우리는 드물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 놓일 때 가 있습니다. 이때 man은 도움이 되는 명령어 입니다.
man 명령은 manual의 줄임말이며 컴퓨터에 저장된 온라인 명령 문서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chmod 명령의 기능이 생각이 나지 않을 때 터미널에 man chmod를 입력하면 명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됩니다. 화살표 키 또는 PgUp/PaDn 키를 사용해서 man 페이지를 위 아래로 스크롤할 수 있습니다. 다 읽고 나면 Q를 눌러 나오면 됩니다.
man은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을 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실제 온라인 환경에서는 구글이 휠씬 더 좋은 리소스가 됩니다. chomd와 같은 구글에서 검색할 때 얻는 처음 몇 개의 결과는 man 페이지의 웹 버전이라고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