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쉘과 터미널 구분하기
Linux 뿐만 아니라 Window에도 쉘과 터미널이 존재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쉘과 터미널을 같은 의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건 반만 맞았다고 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럼 쉘과 터미널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쉘(shell)쉘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와 커널(OS,운영체제)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Linux 뿐만 아니라 Window에도 쉘과 터미널이 존재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쉘과 터미널을 같은 의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건 반만 맞았다고 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럼 쉘과 터미널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쉘(shell)쉘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와 커널(OS,운영체제)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대량의 데이터를 로드하기 위해 gcloud 연동 작업을 진행 합니다. Cloud SDK 시작 전CentOS7은 기본적으로 Python이 설치 되어 있어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gcloud 프로젝트 생성을 합니다. 프로젝트가 없다면 여기 서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패키지 설치 Cloud SDK RPM 패키지는 Red Hat Ent
기업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운영체제로 Linux를 많이 사용 합니다.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Linux 터미널 명령어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sudo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가 sudo 입니다. sudo는 모든 명령을 사용자(root) 권한으로 실행 시킵니다. 업데이트 및 파일 변경과 같은 작업을 할 때 사용 됩니다. 앞서 언급 했듯이 sudo는 사용자
블로그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태그 및 카테고리 설정을 하여 정리를 진행해야 합니다. 간단하게 태그 및 카테고리를 알아봅시다. 파일 생성하기 태그 및 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파일을 생성 합니다.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여기 기존에 파일이 존재하면 기존 파일을 실행 합니다. 태그 및 카테고리 설정하기 태그 및 카테고리는 문장 head 부분에 명령어를
Window 환경에서 작업을 위해 cmd 창을 이용하는 일이 많이 있습니다. 창을 열게 되면 경로가 C:\WINDOWS\system32> 지정되 항상 경로를 뒤로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작업을 좀더 효율적으로 하기위해 시작 경로를 C:로 설정해 봅니다. cmd 속성 들어가기 설정을 위해 cmd 폴더로 이동합니다. 폴더에 들어가서
블로그를 만들었으면 블로그에 업로드 할 파일을 만들어 봅시다. 경로 설정 하기 cmd(명령 프롬프트)를 실행 합니다. 관리자 모드로 실행 합니다. cmd 경로를 현재 블로그 폴더 위치로 지정해 줍니다. 블로그 생성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ex)를 참고 하여 경로를 지정해 줍니다. ex)C:\Users\bangi\Desktop\blog> 파일
설치하기 블로그 지정된 루트 이동 후 명령어로 테마를 다운 받습니다. 경로는 지정은 여기 1$ git clone https://github.com/ppoffice/hexo-theme-hueman.git themes/hueman 블로그 폴더안에 _config.yml 열어서 테마를 수정합니다. 1theme: hueman 테마를 설치하게 되면 them
install 설치kaggle에서 파일을 받기 위해서는 colab에 install 설치를 위한 코드를 입력합니다. 1!pip install kaggle !는 colab에서만 적용 API파일 다운 및 실행설치가 완료 되면 kaggle 방문하여 API파일을 다운 받습니다.kaggle접속 > Account클릭 > API > Create New
1. 준비하기 연동을 하기에 앞서서 github회원가입과 git, Pycham을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의 링크로 진입하여 회원가입, 설치를 진행합니다. github 회원가입 서버에 접속 후 가입을 진행한다. Pycham 다운로드 git 다운로드 2. 실행하기(연동)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Pycham을 실행한다. 창이 열리면 Get from Ver
가장 기본적인 방법스키마 지정하기 실제 데이셋을 빅쿼리에 데이터를 로드하기 전에 반드시 데이터의 정리와 변형을 해야한다. 유닉스 도구를 이용해 대체된 데이터를 NULL 값으로 바꾼다.유닉스 도구 123zless ./college_scorecard.csv.gz | \ sed 's/PrivacySuppressed/NULL/g' | \ gz